2012년 7월 31일 화요일

The Linguistic Big.Bang Theory


The Linguistic Big.Bang Theory

- The Raiders of the Lost Boreas

By Jay Lee

1. Car.l Gu.stav J.ung's Word Association

칼 융은 왜 '붙타오르는 유럽'을 생생히 목격하고 공포에 떨며 자신의 책에 기록해 둔 것일까? 그는 왜 프로이트와 결별한 것일까? 그는 왜 말년에  그노시스주의(Gnosticism)라는 비판을 받을 것이 뻔함에도 불구하고 UFO를 비롯하여 연금술, 카발라 신앙(Kabala.密敎), 만다라, 도교, 주역를 연구하며 <太乙金花宗旨>를 탐독한 것일까? 필자는 20세기의 인류가 얻은 진정한 천재 중 한 사람인 칼 융의 직관을 믿는다. 따라서 그의 '이름'만으로도 그가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과학적 연구 방법론'인 단어 연상법(the word association)을 본 논문의 주요 방법론 중 하나로 선택하고자 한다. 그 방법과 더불어 프로이트의 방법론을 택한다면 칼 융이 그토록 찾아 헤맸던 '내면의 터'(the inner space)를 발견하기 더욱 용이할 것이다. 

Car.l J.ung(以下 Carl Jung)은 왜 '天災地変을 겪는 Europe'을 生生히 目撃한 後 恐怖에 질려 自身의 冊에 記録한 것일까? 그는 왜 末年에 靈知主義(Gnosticism)라는 批判을 받을 것이 뻔함에도  UFO를 비롯하여 , Cabala 信仰(Kabala.密教.カバラ), 曼茶羅, 道教, 主役 研究를 하며 <太乙金花宗旨>를 耽読한 것일까? 筆者는 20世紀의 人類가 얻은 真正한 天才 中 一人인 Carl Jung의 直観을 信頼한다. 따라서 그의 '이름'만으로도 그가 積極的으로 活用했던 '科学的' 研究方法論인 単語 連想法(the word association)을 本論文의 主要方法論中 하나로 選択하고자 한다. 그 方法과 더불어 Sig.Mund Freud의 方法論을 選한다면 그가 그토록 찾아 헤맸던 '内面의敷地'(the inner space)을 発見하기 더욱 容易할 것이다.

2. Sig.Mund Freud's Interpretation of Dreams 

우리는 꿈을 꾼다. 그리스에서는 왜 '올림픽' 경기에 '벌거벗은 남성들'만을 출전시킨 것일까? 고대 올림픽의 원형이 있다면 그 경기(game, not a game)의 관전자는 누구였을가? 혹시 여성들은 아니었을까?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의 기본 개념인 id, ego, super-ego를 칼융의 집단 무의식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분석 도구로 활용할 것이다. (翻訳の前)



3. Par.sing 

어구나 문의 분석을 뜻하는 'Par.ing' 또한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도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Car.l Gu.stav J.ung'과 'Sig.Mund Freud'라는 핵심어(keywords)부터 paring에 의해 '마침표'(periods)를 의도적으로 찍어 두었다. 어차피 '고대 원형어'의 존재 자체가 기존 연구 방법론으로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을까? 필자의 이로한 연구 방법론에 대한 동학 연구가들의 양해를 바란다. (翻訳の前)

4. Baum Test 방식

본논문의 대전제인 '고대 원형 언어 창제자의 존재'를 위해서는 창제자의 원리가 존재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수형도 작성을 통한 피실험자 분석 방법인 Baum Test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수형도를 그리듯 하나씩 고대 원형 언어의 '창제자'의 입장에서 현재 존재하는 주요 언어들(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Latin, Portugese, Spanish, etc.)심리를 분석하다 보면 고대 언어의 공통 분모가 일정 정도 노출될 것으로 본다. 과연 그1)는 어떤 식으로 문자를 하나씩 만들어 간 것일까?  (翻訳の前)

1) 필자는 고대 언어의 '그'는 여성만을 지칭하는 대명사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作成中) August 1, 2012

댓글 없음:

댓글 쓰기